top of page
Mikyung kim, Breath of Time, 104 x 48 x 1 in. 2019, Pigment, ink, resin on wood
Jose Camacho Untitled, (Isis), 2020. (from the quarantine suit)
Jose Camacho Untitled, 2020. (from the quarantine suit)
Jose Camacho Untitled, (Mother and son), 2020. (from the quarantine suit)
Jose Camacho Untitled, (Sun Chariot), 2020. (from the quarantine suit)
Jong Rim Song Untitled, 2010 Beads, resin, paper collage 36.7x36.7in,
JongRim Song, Untitled, 2010, mixed media, 36.5x36.5 inches each triptych
Ran Hwang Ode to second full moon 2021 Paper Buttons, Crystals, beads, pins on Plexiglas, 33x33cm
Ran Hwang, Ode to Second full moon, 2021, 75x75cm, Paper Buttons, Crystals, beads, Pins on
jongSook Kang, Ceramic Installation, Ceramic Gold Wire
Daru Kim 40”x48”, Reflection-Ripple”, Oil on Linen, 2016, $15,000
Daru Kim, 40”x48”-Reflection-Lavender”, Oil on Linen, 2016, $15,000
Heejung Kim Shooting Stars, 2015-2022 Carved wood sticks, paper, marker on wooden panel,16" x 16"
Heejung Kim Sky at Night, 2022 Pins, paper, marker on wooden panel, 12" x 12" x1.5"
Heejung Kim, Viva Spain, 2015- 2021,marker on paper, 16x16x1.25 inches
Heejung Kim, Eclipse, 44 x30 inxhes, gold marker on black paper, 2017
Circles: Centrifugal & centripetal

 

Paris Koh Fine Arts  Presents

 

 

Circles: Centrifugal & Centripetal

Jose Camacho, Jong Sook Kang, Jung Hyang Kim, Mikyung Kim, Ran Hwang, Jong Rim Song, Heejung Kim

Mar. 4 - 29, 2022

Paris Koh Fine Arts, 201 Bridge Plaza north, suite 1, Fort Lee, NJ is proud to present a group exhibition “Circles – Centrifugal & Centripetal: Jose Camacho, Jong Sook Kang, Jung Hyang Kim, Mikyung Kim, Ran Hwang, Jong Rim Song, Heejung Kim”. The show will run from March 4 - 29, 2022 with an opening reception on Friday, March 4th from 6-8pm. Special poem reading will be presented by John Sj Ha.

 

 

The works of the 7 artists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have in common the use of a prototype. The circle in the work is not the main concept of the work, but it helps and supports the focus on the concept of the work. When one point spreads into many, or when infinite points concentrate around one center, a circle is formed. Therefore, circles are a symbol of unity and eternity created by the 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While the circle itself is a key feature, the deeper motif across these works is the use of natural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to create visual focus.

 

Born in Puerto Rico, José Camacho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in the 1980s to work in New York and New Jersey. His round circle like a full moon, paper collage, and acrylic painting work show the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 of a circle shape. One large circle centered in his work attracts and repels out at the same time, making viewers feel the nature of the circle. The energy emanating from the circle drawn is nothing more than the simplicity of the painting itself, and it has the power to keep you focused on the work.

 

Kim Jeong-hyang's oil painting, reminiscent of Claude Monet's water lilies, reminds us of a quiet Zen Garden or a calm sleep. The circles connected by dots and lines on it create a cheerful rhythm like the round waves that spread when rainwater falls on a pond or when a small pebble is thrown. They do not gather to the center, but rather spread out from the center like fireworks exploding in the sky, appealing with a sense of lightness.

 

This work by Jongsuk Kang, which comes to mind when thinking of an apology, is a mediation work in which a flat cylinder-shaped ceramic is woven with metal wires. In previous works, lines were drawn, but in this work, the lines are turned into wires, and the interwoven wires create a four-dimensional space rather than a two-dimensional one. The wires intertwined in the circular cylinder shape play a role in dissolving the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 of the circle itself, showing the charm of focusing on the woven wire rather tha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circle.

Artist Hwang Ran’s plum blossom work consists of handmade paper buttons, pins, and crystal beads that are pressed layer by layer to complete waterproofing, and are installed on a round and colorful plexi-acrylic board. It makes you feel alive. The elegance and elegance emanating from the buttons of paper rather than plastic further enhance the sparkle of the crystals, and the small twinkles of the pinheads that raise their heads as they approach the work are like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s found in Bach's music; it creates a melody with one theme. The reason it takes time to detect that it is a work made of only circles is probably because the story in the work first finds the emotions of the viewers.

 

Kim Mi-kyung's painting, rich in French colors that are reminiscent of Debussy's music, seems to be talking about the feeling that comes from the fantastic French scale. The temporality of instantaneous action and the restrained abstract expression a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tist's changing biorhythms, breathing, and speed, not the artist's intentions. The works that feel like landscape paintings are created by the rhythm of the human body, which can be said to be a part of nature. The small circles drawn using fingers on the artwork represent women's emotions and body cycles, which makes the cycle of an idealized nature, rather than reality, more deeply embedded.

 Jong-Rim Song uses clear marbles to tell a story about the illusion of the real world and the optical illusion of the eyes. The space beyond the marble, created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vex part of the marble, is enlarged and distorted, so it looks different from reality. When light is added to it, a new splendid sparkle is cre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d distance, dazzling the viewers. The story behind the marble, which is gathered or spread through the medium of marble, creates an attractive space that is more than interesting.

 

Kim Hee-jung's works tell the story of the stars, the universe, and her dreams. She also shows the the patterns and symbols of Tibetan mandalas, as she is influenced by Buddhist culture. She mainly tells the story of her relationship and the experiences gained in the past time as an artist. Stairs, parts of the human body such as eyes, nose, and mouth, ribbons, rice bowls, etc., were used to draw stories around us in her works. Her latest work is the process of coming out of a drawing as a three-dimensional work, and the three-dimensional work, which includes geometric and mathematical hand drawings, cut trees, and put drawings on top of them, looks like stars in the universe popping out as flowers. In particular, the stars in the sky expressed with small pins and numerous dots seem to show unconscious consciousness.

 

써클 - 원심력 & 구심력: 호세 카마초, 김정향, 강종숙, 김미경, 황란, 송종림, 김희정

전시 일정: 3월 4 – 29 2022

오픈 리셉션: 3월4일 금요일 저녁 6-8

특별 자작시 낭송: 하세종 시인

 

이번 전시에 소개된 7명의 작가들의 작품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원을 활용한 것이다. 작품 속 원이 메인 컨셉은 아니지만, 주제 이외의 숨겨진 이야기를 끌어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하나의 점이 여러 개로 퍼지거나 무한한 점이 하나의 중심에 집중되면 원이 형성된다. 따라서 원은 긍정과 부정의 균형이 만들어낸 통일성과 영원성의 상징이다. 원 자체가 주요 특징이지만, 이 작품 전반에 걸쳐 더 깊은 모티프는 시각적 초점을 만들기 위해 자연적인 구심력과 원심력을 사용하는 것이다.

 

푸에르토리코에서 태어난 호세 카마쵸 작가는 80년대에 미국에 이민, 정착한 작가이며 뉴욕, 뉴져지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보름달처럼 둥근 원과 종이 콜라쥬 그리고 아크릴릭 페인팅 작업은 원이라고 하는 도형이 가진 원심력과 구심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작품 한가득 그려진 하나의 큰 원은 줌인과 줌아웃을 동시에 할수 있게 하여 원이 가진 성질을 보는 이들이 느끼게 한다. 심플한듯 그려진 원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그림 자체의 심플성에도 불과하고 계속 원에 집중을 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

클로드 모네의 수련을 연상시키는 김정향 작가의 오일 페인팅은 고요한 젠 가든 혹은 잔잔한 수면을 떠올리게 하는데 그 위에 점과 선으로 연결된 동그라미들은 연못에 빗물이 떨어지거나 작은 조약돌을 던질 때 퍼져나가는 동그란 물결들 처럼 경쾌한 리듬을 만들어 낸다. 페인팅속의 동그라미들은 중심으로 모여드는 것이 아닌 하늘에서 터지는 불꽃놀이처럼 중심에서 멀리 퍼져나가며 경쾌하다는 느낌으로 어필이 된다,

사과 하면 떠오르는 강종숙 작가의 이번 작업은 납작한 실린더 형태의 세라믹에 메탈 와이어로 엮어낸 메디테이션 작업이다. 예전 작업들은 선들을 그려 넣었다면 이번 작업은 그 선들이 와이어로 바뀌어 겹겹이 엮인 와이어 들이 입체적으로 2차원이 아닌 4차원의 공간을 창출해 낸다. 동그란 실린더 형상 속에 얽혀있는 와이어들은 동그라미 자체의 원심과 구심력을 해체시키는 역할을 하며 중심과 원의 가장 자리가 아닌 엮어진 와이어에게 초점을 맞추게 하는 매력을 보여준다.

황란 작가의 매화 작업은 겹겹이 눌러 완벽하게 방수처리까지 마친 수제 제작 종이 단추와 핀, 그리고 크리스탈 비드 들이 동그랗고 화려한 색채의 플렉시 아크릴 보드 위에 설치 되어 있는데, 단추들은 핀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작은 바람에도 살랑살랑 움직여 살아있는 생명력을 느끼게 한다. 플라스틱이 아닌 종이 단추에서 우러나오는 단아함과 우아함은 크리스탈 들의 반짝임을 한층 돋보이게 하며, 작품에 다가 갈수록 고개를 드는 핀 머리의 작은 반짝임 들은 마치 바하의 음악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제2 제3의 주제처럼 또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선율을 만들어 낸다. 동그라미들로만 이루어진 작품이란 것을 감지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은 작품 속 이야기가 보는 이들의 감성을 먼저 찾아오기 떄문일것이다.

프렌치 색체가 짙은 드뷔시의 음악을 연상시키는 김미경 작가의 페인팅은 환상적인 프렌치 음계에서 오는 느낌을 이야기하는 듯 하다. 순간적 행위라는 시간성과 절제된 추상적 표현이 작가의 의도가 아닌 그때그때 변하는 작가의 바이오 리듬과 호흡 그리고 속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표현이 된다. 산수화 같은 느낌의 작품은 자연의 일부라 할 수 있는 인체의 리듬에 의해 창작되어 자연과 작품과 인체가 일체 되어 하나의 바이오 리듬을 만들어 내는 것 같다. 작품 위에 손가락을 사용해 찍은 작은 동그라미들은 여성의 감성, 신체 주기를 나타내며 이로 인해 현실이 아닌 이상화된 자연의 주기를 더 짙게 머금게 한다.

송종림 작가는 손가락 한마디만한 크기의 구슬들을 이용해 눈에 보이는 현실 세상의 허구성과 눈의 착시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있다. 구슬의 볼록한 부분을 빛이 통과하며 만들어 내는 구슬 저편 공간은 확대되고 왜곡되어 현실과는 달리 보여진다. 거기에 빛이 더해지면 새로운 느낌의 화려한 반짝임이 보는 각도와 거리에 따라 다르게 추가되어 보는 이들을 현혹시켜 버린다. 구슬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모아지거나 퍼져 보이는 구슬 뒷면의 이야기는 흥미로움 이상의 매력적 공간을 창출해 낸다

 

김희정 작가의 작품은 그녀의 드림과 별들 그리고 우주를 이야기 한다. 티벳의 만달라의 패턴과 심볼들의 느낌도 보여주는데 이는 불교문화에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주로 인연과 작가 자신이 걸어온 시간 속에서 얻은 경험들에 대한 이야기를 보여주는데 계단, 눈, 코, 입 등 인체의 부분, 리본, 밥그릇 등등 우리 주변의 이야기들이 소재로 들어 있다. 최신작품은 드로잉에서 입체로 나오는 과정의 작업으로 지오메트릭 하고 수학적인 핸드 드로잉과 나무를 깍아 칠을 하고 그 위에 드로잉을 얹은 입체 작업은 우주의 별들이 마치 꽃이 되어 튀어 나오는 듯 하다. 특히 작은 핀과 수많은 점을 찍어 표현된 하늘의 별들은 무의식의 의식을 보여주는 듯 하다.

Circles  (20)
Circles  (50)
Circles  (51)
Circles  (42)
Circles  (48)
Circles  (49)
Circles  (43)
Circles  (47)
Circles  (44)
Circles  (45)
Circles  (11)
Circles  (13)
Circles  (12)
Circles  (14)
Circles  (5)
Circles  (40)
Circles  (41)
Circles  (39)
Circles  (15)
Circles  (25)
Circles  (38)
Circles  (26)
Circles  (28)
Circles  (27)
Circles  (29)
Circles  (31)
Circles  (30)
Circles  (34)
Circles  (32)
Circles  (19)
Circles  (18)
Circles  (24)
Circles  (23)
Circles  (36)
Circles  (37)
Circles  (35)
Circles  (22)
Circles  (21)
Circles  (33)
Circles  (17)
Circles  (16)
Circles  (4)
Circles  (52)
Circles  (3)
Circles  (2)
Circles  (1)
bottom of page